수강 기간
총 11주 수강 기간진행방식
ZOOM LIVE총 세부 강의
43개 세부 주제실전 사례, 과제
17개 실전 과제시작: 2022.09.15(목) AM 10:00 ~ 01:30
요일: 목
주차 별 일정: 09.15/09.22/09.29/10.06/10.13/10.20/10.27/11.03/11.10/11.17/11.24/11.11
과제
사전 준비) 우리 회사와 자기 소개
1
Project Manager의 “Project”에 대한 이해
2
PM이 하는 일은 무엇인가요?
토론
우리 회사의 PM은 이런 일을 해요!
3
PM, 기획자와 PO는 어떻게 다른가요?
4
PM에게 요구되는 역량 / 스킬셋의 이해
토론
이런 상황에서는 PM으로서 어떻게 해야하나요?
5
Q&A
과제
내가 맡고 있는 프로젝트 및 PM으로서 하고 있는 역할 소개
토론
1주차 과제 토론 및 피드백 세션
1
프로덕트 단계별 필요한 업무 및 그에 따른 PM 유형
2
프로덕트 구축 단계에서 PM이 일하는 방법
예시
목표 설정 및 MVP 설계 등 목적있는 시도
3
프로덕트 개선 단계에서 PM이 일하는 방법
4
가설 수립, 우선순위 설정 등 의미있는 실험
발표
1주차 우수 과제 발표
토론
난 어떤 단계의 PM에 적합한 유형인가?
5
Q&A
과제
MVP 또는 우선순위 설정해보기
토론
2주차 과제 토론 및 피드백 세션
1
애자일은 무엇인가? 왜 필요한가?
2
애자일 프로세스: 스프린트의 개념
사례
중장기 프로젝트에서의 애자일 프로세스 적용 사례
3
스프린트 플래닝 및 운영: 데일리 스크럼
4
스프린트 리뷰 및 회고
토론
어떻게 하면 지금 환경에서 애자일하게 일할 수 있을까?
5
Q&A
과제
스프린트 플래닝 - 운영 - 회고 사이클을 경험하고 기록하기
토론
3주차 과제 토론 및 피드백 세션
1
프로덕트 사이클을 운영해보며 애자일 진행방식에 대해 이해하기
토론
PM에 대한 모든 것, 속 시원하게 이야기 하기
2
미래를 위해 배운 내용을 정리해보기
3
강의 내용은 물론, PM으로서의 커리어까지 답하는 Q&A!
토론
4주차 과제 토론 및 피드백 세션
1
회사/제품의 시작과 비전 얼라인하기
2
비전에 정렬하기(조직구조를 고려하여)
3
서비스 방향성 설정하기
4
전파 및 추진하기
토론
각자의 사례/고민 공유(1~2개) 및 토론
과제
회사의 비전을 적고 내 서비스의 비전/방향성을 설정해보기
과제
내 서비스의 OKR을 적용해서 정렬해보기
토론
5주차 과제 토론 및 피드백 세션
1
다양한 Task 관리 환경 이해하기
2
과제 정리하고 카테고라이징하기
3
우선순위 평가 프레임워크 이해와 적용
4
로드맵 설정하기
과제
현재 진행 중인/예정인 과제 정리하고 우선순위 평가하기
과제
우선순위 워크프레임에 맞춰 우선순위 수정하기
토론
6주차 과제 토론 및 피드백 세션
1
문제를 감지하거나 수집하기
2
진짜 문제를 찾고 해결 방향 정하기
3
해결안 찾기
4
프로젝트(task) 셋팅하기(지표 설정, 커뮤니케이션)
과제
현재 진행 중/예정인 task 중에 하나를 골라 안에 숨겨진 진짜 문제를 찾아내보기
과제
해당 task의 해결안을 새롭게 정의해보기
과제
새롭게 해결안을 정의한 경우 그에 대한 지표를 설정하기
토론
7주차 과제 토론 및 피드백 세션
1
조직별 특성 이해하기
2
리더의 역할 정의하기
3
팀 문화 만들기
4
팀원 육성하기
실습
내가 만들고 싶은 팀 문화 / 리더상 정의하기
스몰톡
내가 해결한 문제와 성장 나누기
1
개발자의 성향 파악하기
2
PM&개발자의 관계 이해하기
3
개발자와 소통하는 커뮤니케이션 스킬
실습
개발자에게 프로젝트 기획안 브리핑 하기
실습
스프린트 종료 후, 개발자와 회고하기
1
디자이너의 성향 파악하기
2
PM&디자이너의 관계 이해하기
3
디자이너와 소통하는 커뮤니케이션 스킬
실습
디자이너에게 프로젝트 기획안 브리핑 하기
실습
스프린트 종료 후, 디자이너와 회고하기
1
BD의 성향 파악하기
2
PM&BD의 관계 이해하기
3
BD와 소통하는 커뮤니케이션 스킬
실습
BD와 개선과제 수집을 위한 소통하기
실습
스프린트 종료 후, 프로덕트 적용사항 공유하기
1
아이디어 가설 검증, 도대체 어떻게 하지
A
핵심 가설 : 아이디어는 단 한줄로 설명 가능해야 검증할 수 있다.
B
범위를 명확하게 : 조건이 붙는 아이디어는 검증 어렵다.
C
판단을 제대로 : 실행 만큼 결과에 대한 판단력은 중요하다.
2
노코드 이렇게 활용해야합니다.
A
Do & Don’t : 노코드로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
B
우피 : 한 줄로 설명 가능한 아이디어라면, 모두 가
3
아이디어를 검증하면서 느꼈던 실제 고민들
A
실제 고민과 해결 사례 : 지금도 고군분투 하는 3팀의 이야기
B
만약 나라면 이렇게 해볼거다 : 세미나 참여자의 사례에 대한 토의
Q. 지원금 혜택은 어떻게 받을 수 있나요?
Q. 프로그램 신청 자격은 무엇인가요?
Q. 프로그램 수료 기준은 무엇인가요?
Q. 보증금 환급은 어떻게 진행 되나요?